단풍 구경을 다니는 계절이 되었다.  단풍 여행을 집에서 즐기는 보드게임으로 보스크가 눈에 들어왔다.
 
보스크는 2인에서 4인까지 플레이 가능한 추상 전략 게임이다.
공원 게임판은 양면인데, 2인 면과 3-4인 면으로 되어 있다.
게임은 봄, 여름, 가을, 겨울로 구성되어 있다.
봄에 돌아가며 나무를 배치하고, 여름에 배치한 나무 점수를 계산한다.
가을에 나무로부터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낙엽을 배치하고, 겨울에 낙엽 점수를 계산한다.
점수가 가장 높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공원 게임판을 테이블 가운데 놓고, 바람 게임판과 바람 방향 마커를 게임판 옆에 놓고, 점수 표시판을 놓는다.
플레이어는 나무에 해당하는 나뭇잎 타일, 낙엽 토큰, 나무, 다람쥐 토큰을 가져간다.
2인 게임기준으로 왼쪽 플레이어가 여행자 마커(선 마커)를 가지고 있다.

여행자 마커를 가진 플레이어부터 선이 교차하는 위치에 나무를 배치한다.
모든 플레이어가 나무를 배치하면 봄이 끝나고 여름이 시작된다.
 
여름에 가로 세로 각 줄마다 아래 점수를 얻는다.
- 나무 합계가 가장 높은 플레어어가 2점을 얻고 두 번째로 높은 플레이어가 1점을 얻는다.
- 2등인 플레이어가 두 명 이상이라면 2등 점수는 얻지 못한다.
- 나무를 놓은 플레이어가 한 명이라면 3점을 얻는다.
- 1등인 플레이어가 두 명 이상이라면 1점씩 얻는다. 

여름 점수 계산이 끝나고 점수가 가장 낮은 플레이어가 여행자 마커를 가져간다.
만약 여러 명이 가장 낮은 점수로 동률이면 시작 플레이어에서 시계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사람이 여행자 마커를 가져간다.

가을이 시작되었다.
여행자 마커를 가진 플레이어가 바람의 방향을 정한다.
 
여행자 마커를 가진 플레이어부터 가을 행동을 한다.
- 바람 게임판에 표시된 숫자에 해당하는 나무를 선택한다.
- 나뭇잎 타일 중 하나를 선택한다.
- 나뭇잎 타일의 숫자만큼 낙엽을 놓는다.
- 선택한 나무를 게임판에서 제거한다.

이때 다른 플레이어의 낙엽 위에 낙엽을 놓으려면 현재 놓인 낙엽 개수만큼 낙엽을 되돌리고 낙엽을 배치한다. 자기 낙엽 위에는 상관이 없다.
다람쥐 나뭇잎 타일을 선택하면 바람 방향으로 3칸 이내의 칸에 다람쥐 토큰을 배치한다.  이때 현재 놓인 낙엽 개수는 상관이 없다.
시작 플레이어부터 모두 행동을 했다면, 나뭇잎 타일 숫자가 가장 낮은 플레이어가 여행자 마커를 가져간다.  다람쥐 나뭇잎 타일은 1로 계산한다.
여러 명이 가장 낮은 플레이어라면 시작 플레이어에서 시계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사람이 여행자 마커를 가져간다.
여행자 마커를 가진 플레이어가 바람의 방향을 정하고 가을 행동을 반복한다.

게임판 위의 모든 나무가 제거되면 겨울 점수 계산을 한다.
 
게임판에 같은 색으로 된 지역별로 점수를 계산한다.
- 각자 해당 지역을 위에서 봤을 때 자기 낙엽 토큰의 수를 센다. 다람쥐 토큰을 포함한다.
- 가장 많이 차지한 플레이어는 5점을 얻는다.
- 가장 많이 차지한 플레이어가 여러 명이면 각각 4점씩 얻는다.  이때 2등은 점수를 얻지 못한다.
- 2등으로 많이 차지한 플레이어는 3점을 얻는다.
- 2등으로 차지한 플레이어가 여러 명이면 각각 1점씩 얻는다.
- 낙엽을 놓은 플레이어가 1명이라면 8점을 얻는다.

가장 점수가 많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여러 명이 점수가 가장 많다면 마지막 라운드의  시작 플레이어에서 시계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단풍나무 51점, 은행나무 49점으로 게임이 끝났다.
 
소감
먼저 컴포넌트를 만지는 손맛이 좋았다.  추장 전략게임으로 게임 내내 우세하게 여기저기 단풍을 펼쳤던 은행나무보다 단풍나무가 더 점수를 얻었다.
은행나무는 2 지역에서 독점으로 16점을 얻었고,  단풍나무는 1 지역에서 독점으로 8점을 얻었다.
하지만 단풍나무가 5 지역에서 1등을 하면서 10점을 더 얻어 2점 차 승리를 하였다.
봄에 바람의 방향까지 고려해 나무를 잘 심고, 가을에 낙엽을 잘 배치해야 하는데, 여러 번 해봐야 수를 읽는 계산이 가능하겠다.

 

드래곤 캐슬은 사천성과 같은 마작패 맞추기 게임에서 영감을 받은 게임이다.
타일은 마작과 같은 재질이지만 마작패와 비교해 두께가 얇다.
타일은 상인(노란색), 군인(빨간색), 농민(녹색)의 파벌타일과 계절(파란색), 바람(검은색), 드래곤(분홍색)의 특수타일로 되어 있다.

타일을 섞어 중앙 보드에 쌓아 놓는다.  1개에서 3개까지 쌓아 중앙 보드판 칸에 놓는다.
자기 차례에 다음과 같은 행동을 한다. 첫 번째 타일은 가장 높은 층의 타일이 대상이다.
- 같은 타일 한 쌍 가져와 자신의 왕국보드에 배치한다. 두 번째 타일은 원하는 층에서 가져와 배치한다.
- 타일과 성전을 가져와 왕국보드에 배치한다.
- 타일 버리고 승점 1점을 받는다.
- 카운트다운 트랙에서 토큰 1개를 가져온다.

배치할 때 같은 종류(같은색)의 타일이 4개 이상이면 타일을 뒤집고 점수를 얻는다.
참조표에 타일 개수와 얻는 점수가 표시되어 있다. (예: 타일 4개는 2점, 8개 8점)
타일을 뒤집을 때 성전 1개 혹은 2개를 뒤집은 칸 중에서 배치한다.
중앙 보드판에서 카운트다운 토큰 3개가 사라지면 게임이 끝난다.
카운트다운 토큰은 중앙 보드판에서 가장 높은 층이 1층일 때 자기 차례에 가져갈 수 있다.

게임이 끝나고 성전이 놓인 층에 따라 점수를 받는다.
1층은 1점, 2층은 2점, 3층은 3점. 3층  4개와 2층 1개로 20점을 얻었다.

최종 점수 : 등급
0~39 : 학생
40~45 : 애호가
46~49 : 숙련자
50~52 : 달인
53~54 : 드래곤
55~56 : 은의 드래곤
57~58 : 금의 드래곤
59~60 : 옥의 드래곤
60~ : 다이아몬드의 드래곤

게임이 끝나고 44점을 얻어 애호가 등급을 받았다.

잠시 쉬고 두 번째 게임을 진행했다.
두 번째 게임에서는 48점으로 숙련자 등급을 받았다.

마지막에 점수를 내기가 만만치 않아 카운트다운 토큰(2점)을 1개 가져갔다.
녹색 타일 2개를 가져가는 대신 1개를 버리고 1점을 얻을 수 있었는데, 게임 중후반 시점에서 게임 끝까지 타일 계산을 정밀하게 하기가 쉽지 않아 타일 2개를 가져왔다.

에러플
첫 게임에서 AI가 타일을 가져갈 때 같은 타일 한 쌍 가져가는 것을 우선 고려했는데, 상황에 따른 타일 선택이 먼저이고 그 후에 한 쌍을 가져갈 수 있으면 가져가게 된다.

소감
타일 한 쌍을 찾고 왕국보드에 배치하여 점수를 내는 퍼즐이다.
AI가 가져갈 타일까지 계산하면 제대로 브레인 버닝이 된다.

 

제리 님의 초대로 금요일 저녁 퇴근을 하고 부지런히 달려가 모임에 참석했다.
이번에는 고인물 분들과 하다보니 패를 살펴볼 시간이 부족할 장도로 속도감이 장난이 아이였다.

게임 내내 집중해서 플레이 했다.
반장전 2게임을 즐겼다.

10일이 지난 일요일에 초대를 받아 오후 2시부터 7시까지 마작을 4판을 하였다.
이번에 기억에 남을만한 장면은 오프라인 처음으로 후리텐을 한 것이다.
다음 모임 전에 온라인으로 연습을 많이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추상게임 > 마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작_4인플] 제리하우스  (0) 2024.07.02

오만과 편견 소설 중에 휘스트 게임에 대해 여러 번 언급이 나와 어떤 게임인지 궁금하여 조사해 보았다.  휘스트 게임은 서로 마주 보는 2명씩 팀이 되어 4명이 즐기는 카드 게임으로 요즘에는 브리지로 발전되었지만 소설 속 시대적 배경인 18세기말에 영국에서 유행했던 카드 게임이다.

 

참고 : 유튜브 > TheGWFoundation > 휘스트 게임 방법

https://www.youtube.com/watch?v=j0x5RDl7dzk

 

영상에서 나오는 18세기말 영국 전통복, 트럼프 카드와 생활용품들을 갖춰 놓고 게임을 하면 더 재미있겠다.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 (민음사)

  • 96페이지 : 또한 로징스에서 함께 식사하자고 두 번이나 그를 부르셨고, 바로 지난 토요일 저녁에는 카드리유(네 사람이 하는 카드놀이로 이 무렵에 구식이 되고 대신 휘스트가 유행했다 - 옮긴이)를 할 사람의 숫자를 맞추느라 그를 부르러 보내셨다.
  • 11페이지 : 카드 테이블이 펼쳐지자, 콜린스 씨는 휘스트(카드놀이의 일종 - 옮긴이)에 끼기로 함으로써 그녀의 배려에 보답할 기회를 잡았다.

 

게임 규칙

 

준비물 : 플레잉 카드(트럼프 카드)

게임 유형 : 트릭 테이킹

인원수 : 4인

카드 우선 순위 : A K Q J 10 9 8 7 6 5 4 3 2

플레이 방향 : 시계 방향

 

목적 

2명씩 같은 편이 되어 마주 보고 테이블에 앉는다. 마주 보고 있는 팀원이 협력하여 최대한 많은 트릭을 얻어 5점을 먼저 얻는 팀이 승리한다.

 

카드 배분

플레잉 카드(트럼프 카드) 중 조커를 제외한 52장을 딜러 왼쪽 사람이 섞습니다. 딜러가 카드를 시계방향으로 나누어 준다. 마지막 네 장을 나누어 줄 때 마지막 카드는 딜러의 오른쪽 사람이 받는데 이 카드를 공개한다. 이 카드의 모양(슈트)이 트럼프(으뜸) 모양이 된다.

 

플레이

딜러가 선이되어 시계방향으로 카드를 1장씩 자기 앞에 내려놓는다. 첫 번째 트릭에서 마지막 사람은 공개했던 트럼프 카드를 손으로 가져와 들고 카드를 1장 내려놓는다. 선이 아닌 사람은 선이 낸 카드와 같은 모양의 카드가 있으면 그중 한 장을 내려놓는다. 이때 선이 낸 카드와 같은 모양의 카드가 없으면 다른 모양의 카드를 내려놓는다.

 

트릭 우선순위

1 순위. 트럼프 모양 중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카드를 낸 사람이 트릭을 가져간다.

2 순위. 선이 낸 모양 중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카드를 낸 사람이 트릭을 가져간다.

 

점수 획득

총 13 트릭 중에서 팀의 트릭들을 합쳐서 6 트릭을 초과하는 트릭당 1점을 얻는다. 5점을 획득한 팀이 나오면 게임에서 승리한다.

승리한 팀이 나오지 않으면 딜러의 왼쪽 사람이 딜러가 되고 "카드 배분"부터 게임을 진행한다.

 

 

아래 영상을 참고하면 게임 진행을 알 수 있다.

 

참고 : 유튜브 > Riffle Shuffle & Roll > 휘스트 게임 방법

https://www.youtube.com/watch?v=yp-ns80D5Q0&t=177s

 

4인플 : 제리, 늑대, 그림, 헬미

날짜 : 6월 15일(토)

장소 : 제리하우스

제리 님이 집에서 마작 모임을 열었는데, 시간이 애매하고 피곤하여 참여 신청을 안 했다.  그런데, 모임 몇 시간 앞두고 한명일 일이 생겨 마작 모임이 취소될 것 같아 자리 채우는 느낌으로 참여하였다.  모임에 참여하고는 제리 님이 마작을 하려고 집에 전동탁자를 마련했서 깜짝 놀랐다.

한 명이 일이 생겨 취소하였고, 대기자도 참석이 힘들어 자리를 채우러 왔는데 다른 한 명이 노쇼를 하여 3인 마작 세팅을 하고 게임을 하였다.

3인 마작은 2만 패에서 8만 패까지 28개 패를 제거하고, 북 패를 보너스처럼 1판을 주는 점이 다르다.  패에서 2만에서 8만을 완벽하게 빼내지 못해 노란 패와 파란 패가 섞여 나와 세팅하느라 시간이 살짝 걸렸다.

전동탁자가 점수 계산과 점수 차이를 표시하여 편한 게임을 할 수 있다.

모임 단톡방에 노쇼로 추가 인원 요청을 하여 늑대님이 와서 비로소 4인 마작을 할 수 있었다.

역시 마작은 4인이지.

반장전이 끝나고 그림 님이 조금 일찍 간다고 해서 시계를 보니 어느새 6시 근처다.

체감으로는 2시간 지난 느낌인데 4시간이 지났다.

역과 후리텐만 알면 누구나 함께 마작을 즐길 수 있고, 익숙해지면 수다도 해가며 재미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게임이다.

'추상게임 > 마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작_4인플] 제리 하우스 두번째, 세번째  (0) 2024.09.13

봄의 정원 솔로플은 플레이어가 봇 2개와 점수 경쟁을 하는 게임이다.

게임 세팅은 초기 위치에 타일을 배치하고 플레이어는 타일 2개를 받는다.

게임 진행은 플레이어가 차례에 타일을 놓고 타일을 뽑는다. 어려움 모드는 봇이 새 무리 점수를 얻는다.

하지만 꽃 점수 계산에서 플레이어 점수는 최대로 하며 봇은 최저 점수가 되게 배치하면 쉽게 이길 수 있다.

 

소감

독특한 3인플 최적화 타일 놓기 게임이다.  컴포 손맛이 있어 3인플로 했을 때 견제가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3인플 : 동동, 성연, 헬미

날짜 : 12/30(토)

장소 : 미플즈

 

동동 님의 설명으로 캘리코를 3인플로 하게 되었다.

캘리코는 집사가 되어 헝겊 조각을 꿰매 고양이가 좋아하는 퀼트를 만드는 게임이다.

헝겊 타일 놓아 점수를 많이 얻는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출처 : 유튜브 > 탐스크 > 캘리코 설명

https://www.youtube.com/watch?v=E7m63RFSfH0

 

고양이를 키우는 플레이어가 선 플레이어가 된다.

 

게임이 끝났을 때 모습으로 고양이 점수 토큰, 단추 토큰과 디자인 타일의 점수를 모두 더하여 높은 사람이 승리한다.

동점이라면 고양이 토큰이 더 많은 사람이 승리한다.

그래도 동점이라면 단추 토큰이 더 많은 사람이 승리한다.

그래도 동점이라면 함께 승리한다.

고양이가 좋아하는 무늬를 갖고 고양이가 원하는 모양을 만들면 고양이 점수를 받는다.

단추 토큰을 완성하려면 조금 더 머리를 써야 하고, 단추 토큰의 색과 모양을 다 맞추기는 어려워 보여 처음부터 목표로 삼지 않았다.

같은 색 3개면 색 토큰을 받아 완성한 색 위에 놓고, 모든 색 토큰을 모으면 무지개 토큰을 받아 완성된 색 옆에 놓는다.

색 토큰과 무지개 토큰은 각각 3점씩이다.

2인플 : 승민, 헬미

보드게임 페스타에서 승민 님과 만나 이야기하던 중 체스를 좋아한다고 하여 다음에 한번 하자고 했었다.
승민 님이 모임에 참석한다길래 체스와 체스 시계를 가져갔다.  모임이 끝나고 집에 가기 전에 5분 시간제한으로 스피드 체스를 진행했다.
체스 시계 타이머 세팅을 오랜만에 하여 잠시동안 시간을 소모했다.
5분 스피드 체스는 생각할 시간이 없이 바로바로 해야 해서 긴장감이 높다.
종현 님이 옆에서 재미있어하며 사진을 찍어 주었다.

체스시계 PQ9907S 사용법
1. 시간 증가 타이머
- 건전지를 뺐다 다시 넣고 ON 스위치를 켠다.  0:00:00으로 표시된다.  
- 왼쪽/오른쪽 차례를 세팅하고 시작 버튼을 누른다.

2. 줄어드는 시간 타이머
- 건전지를 뺐다 다시 넣고 ON 스위치를 켠다.  0:00:00으로 표시된다.
- 시작 버튼을 2초 동안 누르면 왼쪽 시간에 커서가 깜빡인다.
- +/- 버튼으로 수치를 조절하며 시간을 세팅하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다음으로 커서가 이동한다.
- 같은 방법으로 왼쪽의 시, 분, 초를 세팅하고 시작 버튼을 눌러 오른쪽 시간으로 커서가 이동하면 왼쪽 세팅과 같은 시간으로 오른쪽이 채워진다.
- 다른 값으로 설정이 필요하다면 오른쪽 시, 분, 초를 세팅한다.
- 시작 버튼을 2초 동안 누르면 세팅값이 저장된다.
- 왼쪽/오른쪽 차례를 세팅하고 시작 버튼을 누른다.
(다시 세팅값으로 게임을 하려면 OFF로 스위치를 바꾸었다가 다시 ON으로 하면 세팅값이 표시된다.)

3. 보너스 시간
- 2의 세팅 모드에서 오른쪽 세팅에서 시작 버튼을 눌러 다음으로 이동하면 보너스 시간(bonus) 설정으로 이동한다.
(0~59초 : 보너스 시간은 자기 차례 시작 시 보너스 시간만큼 남은 시간이 늘어난다)

4. 지연 시간
- 2의 세팅 모드에서 보너스 시간 세팅에서 시작 버튼을 눌러 다음으로 이동하면 지연 시간(delay) 설정으로 이동한다.
(0~59초 : 지연 시간은 자기 차례에 지연시간만큼 시간이 지나가고 이후 자기 시간이 줄어든다)
* 보너스 시간과 지연 시간은 나중에 설정한 한 가지만 적용된다.

5. 소리
- 2의 세팅 모드에서 지연 시간 세팅에서 시작 버튼을 눌러 다음으로 이동하면 소리(스피커 아이콘) 설정으로 이동한다.
(1로 세팅 : 시간이 0이 되면 알람이 울린다)

6. 관리
장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배터리를 빼놓는다.

 

4인플 : 승민, 윤지, 나연, 정호

 

페스타 행사가 마무리되어 갈 때 마지막으로 캐스캐디아를 4인플로 체험해 보았다.

캐스캐디아도 초보자가 입문용으로 좋은 게임이라는 명성이 있어 기대를 갖고 있었다.

동물 배치와 지형 배치를 모두 신경 써야 해서 머리를 많이 써야 한다.

게임시작하며 무지성으로 곰을 여러 쌍 모아 보자 했지만 쉽지 않았다.

시간이 다 되어 게임을 중단하고 그 시점에서 점수를 계산했다.

 

다음 차례인 타격감 좋은 나연님 시선을 보며 이 타일을 가져가려고 하죠 하며 가져가는 재미가 있었다.

캐스캐디아도 오프라인으로 했을 때 이런 재미까지 느낄 수 있겠다.

+ Recent posts